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CSS] rem, em 차이 기본 개념 설명 HTML 에서는 CSS 를 이용하여 마진, 폰트 크기를 지정할 때 px, % 단위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대적인 값을 표현할 때는 rem, em 단위를 사용한다. rem rem 은 기준이 되는 값을 지정된 배수로 변환해 표현한 크기를 의미한다. rem의 기준이 되는 값은 최상위 요소(html 태그)에서 지정된 font-size를 의미한다. html { font-size: 16px; } div { font-size: 2rem; /* 32px 이라는 뜻 */ margin-left: 0.5rem /* 8px 이라는 뜻 */ padding: 1rem /* 16px 이라는 뜻 */ } em em는 기준이 되는 값을 지정된 배수로 변환해 표현한 크기를 의미한다. rem이랑 정의는 같은데, 기준이 .. 2022. 4. 23.
HTML 문서 기본구조 코드 body content 결과 태그 설명 문서의 첫 유형을 지정하는 단일 태그이다. 이때 문서 유형이란 웹 브라우저에게 "이 문서는 HTML 형식이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다. 현재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HTML 을 사용하기 위해 적어주는 타입이 html 이다. 문서 유형을 지정한 후 실제 문서가 시작되고 끝나는 것을 나타내는 태그이다. 웹 브라우저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웹 브라우저가 알아야 할 정보들이 이 태그 안에 들어간다. 문자 인코딩 및 문서 키워드 등에 대한 요약정보를 기입하는 단일태그이다. 문자 인코딩이란 한글을 표시하기 위해 문자 세트를 지정하는 작업으로, 영문과 한글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 utf-8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문서의 제목을 나타낸다. 콘텐츠는 브라우저 탭.. 2022. 4. 23.
HTML 기본 지식 1. HTML 의 정의 HTML 은 HyperText Marup Language 를 의미한다. * HyperText : 하이퍼링크를 통해 어떤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 * Markup : (콘텐츠를) 표시하다. * Language : 언어 => 하이퍼 텍스트와 콘텐츠를 표시해주는 언어 정리하면 HTML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이다. 2. HTML의 동작 방식 HTML은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이다. 개발자는 HTML 코드로 웹 페이지에 표시될 내용을 정의한 HTML 문서를 만든다. 완성된 HTML 코드를 웹 브라우저에서 로딩하면 웹 페이지가 만들어진다. HTML 코드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해석되고 표현되는.. 2022. 4. 23.
딸기 키우기 설향 딸기 & 파인베리를 키운지 벌써 1개월이나 지났다. 파인베리는 좀 괜찮은데 설향은 잎이 말리는 현상이 발생했다. 파인베리들만 전체적으로 잎의 상태가 돌돌 말려있다. 반면에 파인베리들은 잎이 작아서 그런건지 모르겠는데 잎 상황도 괜찮고 꽃도 맺히고 있다. 설향딸기의 수정된 딸기 잎이 정상이어야 더 무럭무럭 자랄텐데 성장이 멈춘 상황 돌돌 말린 잎에 기분이 좀 안좋다. 그에 비해 파인베리들은 잘 펴주고 있는데, 검색해보니 근원이 약하면 발생하는 질병이라고 한다. 근원이란 뭐 뿌리가 좀 안좋은 경우 발생한다고 하는데, 흙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거나, 물빠짐이 안되거나해서 뿌리 끝이 상하면 말린다고 한다. 혹시 몰라 급한대로 수초용 영양제를 공급해보기로 한다. 철분으로 쓰여있지만 사실 종합 영양제랑 섞어놨다.. 2022. 4. 23.